유약 (유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약은 노나라 사람으로, 자는 자유이며 공자의 제자이다. 생년은 문헌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기원전 6세기 후반에 태어나 기원전 5세기 중반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공자 사후 제자들 사이에서 공자를 대신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증자에게 비판받았다. 유약은 『논어』에 등장하며, 특히 '화를 숭상한다'는 구절로 알려져 있다. 그는 효와 예를 중시하며, 백성이 풍족해야 임금도 풍족하다는 사상을 펼쳤다. 청나라 건륭제 때 공자의 12제자 중 한 명으로 칭해졌다.
유약(有若)은 노나라 사람으로, 자는 자유(子有)였다고 『공자가어』 72제자해에 기록되어 있다.
유약은 효(孝)와 제(悌)를 인(仁)의 근본으로 보았다.[10] 유약은 "그 사람됨이 효성스럽고 공경하면서 윗사람을 범하기를 좋아하는 자는 드물고, 윗사람을 범하기를 좋아하지 않으면서 난 일으키기를 좋아하는 자는 있지 않다. 군자는 근본에 힘쓰는 것이니, 근본이 확립되면 도가 생겨난다. 효제(孝悌)는 인(仁)의 근본이다."라고 하였다.[10]
2. 생애와 활동
유약의 생년은 문헌에 따라 여러 설이 있다. 『사기』 중니제자열전에는 공자보다 43세 어리다고 하였고[2], 『사기색은』에 인용된 『공자가어』에서는 33세 어리다고 하였다고 한다(현행 『공자가어』에서는 공자보다 36세 어리다고 한다). 몰년에 대해서는 『예기』 단궁의 기사에서, 노나라 도공의 시대(재위 기원전 467년-기원전 437년)에 사망한 것을 알 수 있다. 어느 쪽이든 기원전 6세기 후반에 태어나 기원전 5세기 중반에 사망하였다.
『맹자』 등문공 상에 따르면, 유약은 공자와 풍모가 비슷하여, 공자 사후에 자하·자장·자유 등이 공자를 대신하여 유약을 섬기려 했지만, 증자가 이를 비판했다고 한다. 『사기』에도 비슷한 이야기가 있으며, 다른 제자들이 예전 공자의 언행에 대해 유약에게 질문했지만, 유약이 대답하지 못했기 때문에 공자를 대신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고 한다.
왕응린은 『곤학기문』에서 증자와 유약을 비교하여, 유약을 낮게 평가했다.[3]
『논어』 학이편에 유약의 말이 세 번 인용되어 있다. "화를 숭상한다(和を以て貴しとなす)"[4] "효도하고 공경하는 것은 인의 근본이다(孝弟なる者はそれ仁の本たるか)" 등의 말은 널리 알려져 있다. 안연편에서는 애공의 질문에 답하고 있지만, 유약과 공자의 직접적인 대화는 기록되어 있지 않다. 유약은 정치학을 공부했으며, 정치에서 활약했다.
『춘추좌씨전』 애공 8년 기사에도 유약이 등장한다.
2. 1. 생애
유약(有若)은 노나라 사람으로, 자는 자유(子有)였다고 『공자가어』 72제자해에 기록되어 있다.
유약의 생년은 문헌에 따라 여러 설이 있다. 『사기』 중니제자열전에는 공자보다 43세 어리다고 하였고[2], 『사기색은』에 인용된 『공자가어』에서는 33세 어리다고 하였다고 한다(현행 『공자가어』에서는 공자보다 36세 어리다고 한다). 몰년에 대해서는 『예기』 단궁의 기사에서, 노나라 도공의 시대(재위 기원전 467년-기원전 437년)에 사망한 것을 알 수 있다. 어느 쪽이든 기원전 6세기 후반에 태어나 기원전 5세기 중반에 사망하였다.
『맹자』 등문공 상에 따르면, 유약은 공자와 풍모가 비슷하여, 공자 사후에 자하·자장·자유 등이 공자를 대신하여 유약을 섬기려 했지만, 증자가 이를 비판했다고 한다. 『사기』에도 비슷한 이야기가 있으며, 다른 제자들이 예전 공자의 언행에 대해 유약에게 질문했지만, 유약이 대답하지 못했기 때문에 공자를 대신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고 한다.
왕응린은 『곤학기문』에서 증자와 유약을 비교하여, 유약을 낮게 평가했다.[3]
『논어』 학이편에 유약의 말이 세 번 인용되어 있다. "화를 숭상한다(和を以て貴しとなす)"[4] "효도하고 공경하는 것은 인의 근본이다(孝弟なる者はそれ仁の本たるか)" 등의 말은 널리 알려져 있다. 안연편에서는 애공의 질문에 답하고 있지만, 유약과 공자의 직접적인 대화는 기록되어 있지 않다. 유약은 정치학을 공부했으며, 정치에서 활약했다.
『춘추좌씨전』 애공 8년 기사에도 유약이 등장한다.
2. 2. 공자 사후
유약(有若)은 노나라 사람으로, 자는 자유(子有)였다고 『공자가어』 72제자해에 기록되어 있다.[2] 유약의 생년은 문헌에 따라 다른데, 『사기』 중니제자열전에는 공자보다 43세 어리다고 되어 있고,[2] 『사기색은』에 인용된 『공자가어』에서는 33세 어리다고 하였다(현행 『공자가어』에서는 36세). 몰년은 『예기』 단궁의 기사에서 노나라 도공의 시대(재위 기원전 467년-기원전 437년)에 사망한 것으로 나타나, 기원전 6세기 후반에 태어나 기원전 5세기 중반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맹자』 등문공 상에 따르면, 유약은 공자와 외모가 비슷하여 공자 사후 자하, 자장, 자유 등이 유약을 공자 대신 섬기려 했으나, 증자가 이를 비판했다.[3] 『사기』에도 비슷한 이야기가 있는데, 다른 제자들이 공자의 언행에 대해 질문했을 때 유약이 대답하지 못해 공자를 대신할 수 없다는 비판을 받았다고 한다.
『논어』 학이편에는 유약의 말이 세 번 인용되어 있다. "화를 숭상한다(和を以て貴しとなす)"[4], "효도하고 공경하는 것은 인의 근본이다(孝弟なる者はそれ仁の本たるか)" 등이 잘 알려져 있다. 안연편에서는 애공의 질문에 답하고 있으나, 공자와의 직접적인 대화는 기록되지 않았다. 유약은 정치학을 공부하고 정치에서 활동했으며, 『춘추좌씨전』 애공 8년 기사에도 등장한다.
2. 3. 정치 활동
유약은 노나라 사람으로, 자는 자유(子有)였다고 『공자가어』 72제자해에 기록되어 있다.
유약의 생년에 대해서는 문헌에 따라 여러 설이 있다. 『사기』 중니제자열전에는 공자보다 43세 어리다고 하였고[2], 『사기색은』에 인용된 『공자가어』에서는 33세 어리다고 하였다(현행 『공자가어』에서는 공자보다 36세 어리다고 한다). 몰년은 『예기』 단궁의 기사에서 노나라 도공의 시대(재위 기원전 467년-기원전 437년)에 사망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기원전 6세기 후반에 태어나 기원전 5세기 중반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맹자』 등문공 상에 따르면, 유약은 공자와 풍모가 비슷하여 공자 사후에 자하, 자장, 자유 등이 유약을 공자 대신 섬기려 했지만, 증자가 이를 비판했다고 한다. 『사기』에도 비슷한 이야기가 전해지는데, 다른 제자들이 공자의 언행에 대해 질문했지만 유약이 대답하지 못하여 공자를 대신할 수 없다고 비판받았다는 내용이다. 왕응린은 『곤학기문』에서 증자와 유약을 비교하며 유약에게 낮은 평가를 내렸다.[3]
『논어』 학이편에는 유약의 말이 세 번 인용되어 있다. "화를 숭상한다(和を以て貴しとなす)"[4], "효도하고 공경하는 것은 인의 근본이다(孝弟なる者はそれ仁の本たるか)" 등의 구절은 널리 알려져 있다. 안연편에서는 애공의 질문에 답하고 있지만, 공자와 직접적인 대화는 기록되어 있지 않다. 유약은 정치학을 공부했으며, 정치에서 활약했다. 『춘추좌씨전』 애공 8년 기사에도 유약이 등장한다.
3. 사상
애공이 유약에게 나라 살림이 어려운데 어떻게 해야 하는지 묻자, 유약은 세금을 줄이라고 답했다.[9] 유약은 백성이 부족한데 임금이 족할 수 없다고 말하며, 백성이 넉넉해야 임금도 넉넉해진다고 주장했다.[9]
또한 유약은 예(禮)의 쓰임은 화합을 귀하게 여기는 것이라고 하였다.[10] 옛 임금의 도는 이것을 아름답게 여겨서, 크고 작은 일들이 여기에서 비롯되지만, 화합을 알면서도 예로써 절제하지 않으면 행할 수 없다고 하였다.[10] 유약은 신의가 의에 가까우면 그 말을 실천할 수 있고, 공손함이 예에 가까우면 치욕을 멀리할 수 있다고 하였다.[10]
유약은 논어에서 조세 정책에 대한 질문에 답하며, 백성이 풍족하면 임금도 풍족하고, 백성이 부족하면 임금도 부족하다고 주장했다.[9] 유약은 예의 쓰임에서 화합을 중시하고, 옛 임금의 도가 이를 아름답게 여겼다고 말했다.[10] 또한, 유약은 신의가 도의에 가깝다면 그 말을 실천할 수 있고, 공손함이 예에 가깝다면 치욕을 멀리할 수 있다고 하였다.[10] 그는 효도하고 공경하면서 윗사람을 범하는 자는 드물고, 윗사람을 범하지 않으면서 난리 일으키기를 좋아하는 자는 없다고 보았다.[10] 군자는 근본에 힘쓰고, 근본이 서면 도가 생기는데, 효도와 공경은 인의 근본이라고 강조했다.[10]
3. 1. 효제(孝悌)와 인(仁)
유약은 효(孝)와 제(悌)를 인(仁)의 근본으로 보았다.[10] 유약은 "그 사람됨이 효성스럽고 공경하면서 윗사람을 범하기를 좋아하는 자는 드물고, 윗사람을 범하기를 좋아하지 않으면서 난 일으키기를 좋아하는 자는 있지 않다. 군자는 근본에 힘쓰는 것이니, 근본이 확립되면 도가 생겨난다. 효제(孝悌)는 인(仁)의 근본이다."라고 하였다.[10]
애공이 유약에게 나라 살림이 어려운데 어떻게 해야 하는지 묻자, 유약은 세금을 줄이라고 답했다.[9] 유약은 백성이 부족한데 임금이 족할 수 없다고 말하며, 백성이 넉넉해야 임금도 넉넉해진다고 주장했다.[9]
또한 유약은 예(禮)의 쓰임은 화합을 귀하게 여기는 것이라고 하였다.[10] 옛 임금의 도는 이것을 아름답게 여겨서, 크고 작은 일들이 여기에서 비롯되지만, 화합을 알면서도 예로써 절제하지 않으면 행할 수 없다고 하였다.[10] 유약은 신의가 의에 가까우면 그 말을 실천할 수 있고, 공손함이 예에 가까우면 치욕을 멀리할 수 있다고 하였다.[10]
3. 2. 화이위귀(和爲貴)
유약은 논어에서 조세 정책에 대한 질문에 답하며, 백성이 풍족하면 임금도 풍족하고, 백성이 부족하면 임금도 부족하다고 주장했다.[9] 유약은 예의 쓰임에서 화합을 중시하고, 옛 임금의 도가 이를 아름답게 여겼다고 말했다.[10] 또한, 유약은 신의가 도의에 가깝다면 그 말을 실천할 수 있고, 공손함이 예에 가깝다면 치욕을 멀리할 수 있다고 하였다.[10] 그는 효도하고 공경하면서 윗사람을 범하는 자는 드물고, 윗사람을 범하지 않으면서 난리 일으키기를 좋아하는 자는 없다고 보았다.[10] 군자는 근본에 힘쓰고, 근본이 서면 도가 생기는데, 효도와 공경은 인의 근본이라고 강조했다.[10]
4. 평가 및 영향
청나라 건륭제 3년(1738년)에 공자의 제자 중 특히 뛰어난 12명(십이철)에 더해졌다.[5]
4. 1. 긍정적 평가
청나라 건륭제 3년(1738년)에 공자의 제자 중 특히 뛰어난 12명(십이철)에 더해졌다.[5]4. 2. 부정적 평가
청나라 건륭제 3년(1738년)에 공자의 제자 중 특히 뛰어난 12명(십이철)에 더해졌다.[5]5. 논어에서의 언급
논어 안연제십이(顏淵第十二)에서 애공이 유약에게 나라 살림이 어려운데 어떻게 해야 할지 묻자, 유약은 세금을 줄일 것을 제안했다.[9] 애공이 세금을 줄이면 재정이 더 부족해질 것이라고 하자, 유약은 백성이 풍족하면 임금도 풍족하고 백성이 부족하면 임금도 부족하다고 답했다.[9]
논어 학이제일(論語 學而第一)에서 유자는 예의 쓰임은 화합을 귀하게 여기는 것이라고 말했다.[10] 옛 임금의 도는 이것을 아름답게 여겼으며, 크고 작은 일들이 여기에서 비롯된다고 했다. 그러나 화합을 알면서도 예로써 절제하지 않으면 행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10]
또한, 유자는 신의가 도의에 가까우면 그 말을 실천할 수 있고, 공손함이 예에 가깝다면 치욕을 멀리할 수 있다고 말했다.[10] 의지하여도 그 친함을 잃지 않으면 존숭받는 자가 될 수 있다고 하였다.[10]
유자는 효도하고 공경하면서 윗사람을 침범하기를 좋아하는 자는 드물고, 윗사람을 침범하기를 좋아하지 않으면서 난리 일으키기를 좋아하는 자는 없다고 말했다.[10] 군자는 근본에 힘을 써야 하고, 근본이 서면 도가 생기는데, 효도와 공경은 어짊의 근본이라고 강조했다.[10]
참조
[1]
문서
ただし閔子は閔子騫の脱字の可能性あり。金谷(1963)p.146 では閔子騫に作る
[2]
서적
史記
[3]
서적
困学紀聞注
中華書局
2016-03
[4]
문서
金谷(1963)では「以」の字がなく「和を貴しと為す」とする
[5]
서적
大清会典事例
https://archive.org/[...]
[6]
문서
(孟子·滕文公上)「吾聞用夏變夷者,未聞變於夷者也。陳良,楚產也;悅周公、仲尼之道,北學於中國,北方之學者,未能或之先也。彼所謂豪傑之士也。子之兄弟事之數十年,師死而遂倍之。昔者孔子沒,三年之外,門人治任將歸,入揖於子貢,相向而哭,皆失聲,然後歸。子貢反,筑室於場,獨居三年,然後歸。他日子夏、子張、子游以有若似聖人,欲以所事孔子事之,強曾子。曾子曰:『不可,江漢以濯之,秋陽以暴之,皜皜乎不可尚已。』今也南蠻鴃舌之人,非先王之道,子倍子之師而學之,亦異於曾子矣。吾聞出於幽谷、遷于喬木者,未聞下喬木而入於幽谷者。魯頌曰:『戎狄是膺,荊舒是懲。』周公方且膺之,子是之學,亦為不善變矣。」「從許子之道,則市賈不貳,國中無偽;雖使五尺之童適市,莫之或欺。布帛長短同,則賈相若;麻縷絲絮輕重同,則賈相若;五穀多寡同,則賈相若;屨大小同,則賈相若。」曰:「夫物之不齊,物之情也。或相倍蓰,或相什百,或相千萬;子比而同之,是亂天下也。巨屨小屨同賈,人豈為之哉?從許子之道,相率而為偽者也,惡能治國家?」
[7]
문서
맹자(孟子)에 언급하기를 공자(孔子)사후에 자하(子夏), 자장(子張), 자유(子游)가 '성인(聖人)이 살아있다면 자유(子有)같을것이다 그로써 대신하자하니 증자가 불가하다고 했다'라고 평하였다.(위키백과)孟子謂孔子歿後,子夏、子張、子游以為有若似聖人,欲以所事孔子事之,曾子以為不可。(詳見《孟子·滕文公上》)有若過世之後,魯悼公曾前往弔唁,足見其為同門及魯人之所重。
[8]
웹사이트
(사기 열전 仲尼弟子列傳 有若)
https://ko.wikisourc[...]
[9]
웹사이트
논어,안연제십이(顔淵第十二)
https://ko.wikisourc[...]
[10]
웹사이트
(논어 학이제일)
https://ko.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